top of page

​협력연구원

한기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국제사회이론 연구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남북관계의 현장과 이론의 조화를 중시하며, 통일부 과장(서기관) 재직 당시 개성 남측 상주대표로 근무했다. 

제5대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한국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고 제7회 국립외교원 학술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현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의 연구실장(연구부교수)이며, (사)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위원장 겸 《아주경제》 필진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 및 연구는 『분단의 힘: 경계가 지배하는 한반도』(선인출판사, 2025), 『한반도 평화를 향한 다섯 가지 시선』(공저, 선인출판사 2024),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일상·접촉·공존』(공저, 한국학술정보 2024), The Perpetuated Hostility in the Inter-Korean Rivalry, KOREA OBSERVER, 49-2(공저, 2018).

kiho_han.png

​구양모

구양모 박사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ROTC가 처음 설립된 사립사관학교인 노르위치 (Norwich) 대학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대학 소재 평화전쟁연구소 부소장을 겸직하고 있다. 미국 아메리칸대 국제대학원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서강대학교에서 독문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조지워싱턴 대학에서 국제관계학 석사와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북한 핵문제/경제개혁, 동북아 안보, 미국 외교정책, 적대국가간 기억과 화해의 정치이다. 북한 핵문제 연구서인 Nuclear North Korea: Strategy and Practice from the Korean War to the New Cold War 가 2026년 4월에 출판될 예정이고, 공저로 Politics in North and South Korea: Political Development, Economy, and Foreign Relations 가 있다.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Asian Perspective, Pacific Focu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and the Yale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등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그리고, Journal of Peace and War Studies 학술지의 초대 편집장으로 일하면서, Voices on Peace and War 라는 노르위치 대학 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미국 연방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워싱턴과 하와이에서 북한 핵문제와 한반도 정치/경제에 관한 초청 강의를 자주 하였다.

yangmo_ku.png

이인엽

이인엽 박사는 테네시 공과대학교(Tennessee Tech University) 정치학과 조교수이다. 2014년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에서 정치학/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2008년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한국의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및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연구는 북미 핵 협상, 동아시아 정치와 미국 외교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8년Routledge에서 출간된 『Politics in North and South Korea』의 공저자이다. 또한 “Can North Korea Follow China’s Path? A Comparative Study of the Nexus Between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Reforms (2019, Pacific Focus)”, “Rethinking Economic Sanctions on North Korea: Why Crippling Economic Sanctions Will Not Make North Korea Denuclearize (2022, Korea Observer)” 그리고 "Mediation Diplomacy of a Critical Stakeholder: South Korea's Role in the U.S.-DPRK Negotiation (2024, Korea Observer)" 등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inyeop_lee.png

이주영

이주영은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부교수로, 미국사, 국제관계사, 냉전사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미국과 세계(U.S. and the World)’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학위논문 「Making Democracy Korean: American Ideals and South Korean State-Building, 1919–1960」에서 냉전기 미국의 민주주의 전파를 미국 예외주의와 자유주의 국제질서 수립의 맥락에서 분석했다. 연구 분야는 민주주의, 인권, 자본주의, 개발, 냉전, 환경사 등으로, 국제관계의 변화와 미국 국내 정치·사회·문화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Diplomatic History,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Interventions 등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Fission and Fusion of Allies』(Springer, 2023)의 공저자이다.

학문 연구와 더불어 공공역사와 디지털 역사학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정치학·경제학·공학·교육학 연구자들과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해왔다. 서양사학회 편집이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술자문 등 다양한 학술·자문 활동을 수행했고, 공학 중심 대학에서의 교양교육부터 역사 전공 대학원 세미나까지 폭넓은 교육 경험을 쌓았다. 수업에서는 비판적 사고, 글로벌 시각, 그리고 역사와 현대사회의 연결을 강조하며, 국내외 유수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도해왔다. 또한 역사학 전공자뿐 아니라 시민과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교육의 확장을 위해 공공역사·디지털 역사 교육을 체계화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Jooyoung_lee.png

이강국

이강국은 리쓰메이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이며 연구주제는 경제성장과 불평등, 금융세계화 그리고 동아시아 경제 등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매사추세츠주립대학교에서 자본자유화와 경제발전을 연구하여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강국의 경제산책’ 등 여러 권의 책과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등 여러 학술지에 많은 논문들을 발표했다. 그는 2009년 컬럼비아대학교 방문학자였고, 2018년 케임브리지대학교 방문학자, 그리고 2019년 서울대학교 방문학자를 역임햇다. 또한 The Japanese Political Economy의 공동편집자이며 한겨레, 시사인, Nikkei Asia 등 여러 언론에 칼럼을 써왔다.

Kangkook Lee Photo 2025.png

신찬웅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시라큐스 대학교에서 “미국 복음주의 기독교와 미국 외교정책”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 인디애나 웨슬리안 대학교(Indiana Wesleyan University)에서 가르쳤으며, 현재는 매사추세츠주 고든 칼리지(Gordon College)에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미국 외교정책, 종교와 정치, 국제윤리 등이며, 특히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 정착을 위한 종교의 역할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chanwoong_shin.png

© 2025 The Center for U.S. - Korea Politics and Economy | All Rights Reserved. Contact Us: brianahn@cukpe.org

bottom of page